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1867

번호 제목 조회
91 본초자오선
[本初子午線]
[영] Prime meridian
지구상에서 경도를 결정하는 데 기준이 되는 자오선이다. 1884년 영국 그리니치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정하고 그 선을 중심으로 동서 180도씩 구분하여 각각 동경 서경으로 표시한다.
2498
92 수치해석
[數値解釋]
[영] numerical analysis
수학적으로 표현된 문제의 해답을 효율적으로 계산해내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수학 및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 이것은 수학적인 문제를 수치적으로 즉 계산을 통해서 풀이하는 방법과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및 그의 한계에 대한 연구가 포함된다.
2491
93 독정오차
[讀定誤差]
[영] Reading error
눈금을 읽을때 생기는 오차로 이 속에는 우연오차 외에도 개인오차도 포함된다. 를 줄이기 위해서는 횟수를 여러번하여 그 평균치를  쓴다. 개인오차는 정오차이므로 관측방법에 따라 소거하는데에 노력해야 한다. 측각에서는 두방향의 독정치의 차에 의하여 협각을 구하므로 이 오차는 소거된다. 기선 측량에서는 전단 후단의 독정자가 왕복해서 교대하면 된다.
2486
94 건판보지기
[乾板保持器]
[영] plate holder
실체 도화기에서 사진을 고정하고 내부 정위를 바르게 유지시키는 장치.
2478
95 면적
면적이라 함은 지적측량에 의하여 지적공부에 등록된 토지의 수평면적을 말한다.
2476
96 회전행렬
[回轉行列]
[영] Rotation Matrix
어떤 좌표계의 한가지의 축둘레에 좌표계를 어떤 각도만을 회전시켜 얻어지는 좌표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행렬을 말하며 사진측량에서는 기울기가 없는 좌표계의 x` 좌표를 ω만 회전시켜 얻어지는 좌표계 xω.yω zω는 회전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2472
97 망목법
[網目法]
[영] Grid method
도해 편위수정의 일종으로서 항공사진과 지도에다 대응하는 망목을 그어 각 망목마다 수정해 가면서 베껴나가는 방법
2457
98 역둔토
[驛屯土]
국유지의 별칭으로 원래 역토와 둔토만을 의미하였으나 1906년 이후 일제는 제실재산과 국유재산을 정리한다고 하면서 역둔토를 국유지의 별칭으로 쓰기 시작하다가 1908 년 부터는 공공연하게 국유농지를 총칭하여 역둔토라 불렀다. 따라서 1908년 이후 부터는 역둔토에서는 역토와 둔토뿐만 아니라 궁장토 목장토 능원묘위토 기타 궁위와 관위의 부속토지가 모두 포함되었다.
2452
99 등고선법
[等高線法]
[영] Contour line method
지표면 위의 같은 높이의 점을 연결하는 방법
2436
100 녹지
[綠地]
[영] Green Area
건축구조물이 없는 영속적인 공지를 말하며 공원광장묘원산책로농원유원지 및 토지이용계획에 의해 보존되는 생산녹지 차단녹지 도시림 풍치지구 문화재 사적지 명승지 천연기념물자연보호지 등이 포함된다.
2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