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1867

번호 제목 조회
1801 ABC
[영] Airborne Control System
위치와 고도가 정해진 점위에 헬리콥터가 수직이 되게 하여 수평위치와 고도를 알고 있는 두.세점으로부터 전파거리측량과 수평.수직각측량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삼림지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정확한 비행은 조종사가 측점 위에 제대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시준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며 비행고도를 관측하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추선과 drum이 이용된다. 헬리콥터가 측점에 위치하였을 때 조종사가 신호를 보내면 데오도라이트로 헬리콥터 위쪽에 부착된 회전등을 시준하여 값을 얻는다.
954
1802 Gps Differential
[干涉測位法]
[영] Differential GPS
GPS 는 인공위성에 의한 항법지원을 주 목적으로 하는 측위시스템이다. 이 목적의 인공위성을 여러개의 수신점에서 수신하여 반송파의 위상측정을 행하여 전파도달시각의 차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 목적의 수신기는 GPS 측위간섭계라고 부른다. 이 측정에서 높은 정도로 구해지는 2점간의 좌표 차 즉 거리벡터이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트랜스 로케이션 방식이 있다.
954
1803 P.D
[영] Polar Distance
극거리/적위의 여각
953
1804 M.H.W.L
[영] Mean High Water Level
평균고수위 평균고조면
953
1805 Arc/Info
미국의 ESRI 사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에서 세계적으로 약 7000 세트가 판매되었다. 가장 많이 보급되어있는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을 위한 기본 시스템이다. 지도 데이터를 관리할 때 집계 해석에 많이 이용되고있다.
953
1806 VLBI
[영] Very Long Baseline Interferometer
무한거리에 있다고 볼 수 있는 준성으로부터의 동일전파원으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멀리 떨어진 2점에서 동시에 수신하여 2점에 전파가 도착하는 시간차[지영시간]를 정확히 관측함으로써 2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것이다. 이 기법은 원래 전파천문학의 분야로서 전파를 발사하는 천체의 위치나 구조를 관측하는 기술로서 고안되었으나 1960년대 말경부터 대규모적 측량에 이용 되었다. 초장거리 간섭계라고 한다.
952
1807 GPS positioning interferometer
[測位干涉計]
[영] GPS positioning interferometer
GPS 측량에 사용하는 수신기로서 동작원리가 파동간섭 성질을 이용한다.
951
1808 Rapid Static
키네마틱 측위의 1가지 방법으로 간섭측위에서는 최저 4 위성을 관측할 필요가 있으며 이 방식으로 전체 위성을 동시에 관측하는 P 코드를 이용한 다수의 데이터를 통계처리하여 정수치 바이아스를 확정한다.
951
1809 L1 Band
[영] L1 Band
[L1대] GPS 위성으로부터 발신되는 측위용 전파로 주파수가 1575.42 MHZ 이다 일반 측위에서는 이 전파가 이용된다.
951
1810 GIS
[영]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구에 대한 공간정보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지도학 및 제도술.컴퓨터 응용설계 및 컴퓨터그래픽. 측지학 및 사진측량학 공간분석 내삽기법 원격탐사의 종합체이다. 이들 공간정보는 소정의 축척 투영법 및 좌표계에 따라 컴퓨터에 적합한 수치형식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며 데이터 베이스는 층[layer] 또는 면[plane]으로 구성되어 각 층마다 상이한 주제의 정보가 수록된다.
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