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하단메뉴 바로가기

1867

번호 제목 조회
361 다원추도법
[多圓錐圖法]
[영] Polyconic projection
표현하려는 각 위선마다 다수의 원추를 접하게 하고 각 위선상의 부분을 그것에 접하는 원추의 내면에 투영하는 도법이다. 전개도법의 한가지로 1820년 미국의 F.해슬러에 의해 개발되었다. 투영한 후에 각각의 원추를 평면에 전개하여 상호 연결한 것으로 각 도면은 선형을 이루고 그것들을 합치면 지구의가 만들어 진다. 경선은 중앙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원호이다. 이 도법은 남북방향으로 가늘고 긴 지역을 연속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646
362 횡거
[橫距]
[영] longitude
측선의 중점에서 준거선에 이르는 거리. 자오선거라고도 하며 M.D [meridian distance]로 약기한다.
1646
363 도식
[圖式]
[영] Symbols
지형도상에 표현되는 내용 및 그 표시방법 등을 정하고 지형도의 규격에대한 통일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형식.
1646
364 계통오차
[系統誤差]
[영] Systematic errorConstant
定 오차라고도 하며 일련의 관측값이 일정한 조건하에서 같은 방향과 크기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하며 관측 횟수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므로 누차라고도 한다. 오차가 일정한 법칙에 따라 상태만 알면 오차를 소거할 수 있다.
1646
365 미터
[영] Meter
1793년 프랑스 과학아카데미는 지구의 북극과 적도사이의 거리 즉 자오선 1상한 [90도] 길이의 1/10000000 로 정하고  1799년 백금제의  표준기를 만들어 미터법을 제정하였다. 그후 1870년 및 1872년에 국제미터  위원회에서 국제 미터원기 및 각국의 미터원기제작을 결의하고 1875년 미터 외교회의가 소집되어 미터조약이 체결되었다
1646
366 원형수준기
[圓型水準器]
[영] Circular level
상부를 구형으로 만든 원통형의 유리관에 알콜이나 에테르를 넣고 기포를 남겨둔 것임.
1645
367 등적도법
[等積圖法]
[영] Equal-area projection
지도상의 각 부분에서 면적이 항상 바르게 표시되는 도법의 총칭.등적투영이라고도 한다.
1645
368 복곡선
[復曲線]
[영] Compound curve
반경이 다른 두 개의 단곡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접점에  있어서의 공통접선의 같은 축에서 연속되는 곡선. 복심곡선이라고도 한다.
1643
369 귀심
[歸心]
[영] Reduction to center
측표 또는 기기의 중심은 표석 중심과 동일 연직선중에 있지 않으면 안되나  장해물로 인하여 기준점에 기계를 세울 수 없을 때에 표석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 기계를 거치하여 관측을 하는 경우로이 결과를 보정하여 표석 상의 값으로 계산하며 이 작업을 귀심이라 한다.이 귀심은 측표 귀심과 점표 귀심이 있다.
1643
370 간선가로
[幹線街路]
[영] Arterial street
도시내에서 중요 지점을 연락하고 가로망의 근간이 되는 주요 도로. 일반적으로 폭원은 넓고 보차도의 구별이 있다.
1641